강원대학교 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강원대학교 일반 대학원 도시재생융합학과

2 1 8 L a b +


우리 연구실은 사회적으로 건강하고,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공간환경을 바탕으로 사람이 중심이 되는 도시건축을 실천하고자 하며, 세부적으로 지향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치유환경을 바탕으로 하는 도시건축을 지향
사람은 도시에서 다양한 관계망을 형성하고, 경험을 공유하며 살아간다. 이는 종종 사회적 피로에 연계되어 위험에 노출되기도 한다. 우리가 생활하는 공간에서 이를 치유하고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공간을 구현하고 모색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치유적 환경을 계획하고 실천하고자 한다. 그리고 건강한 도시건축을 구현하고자 한다.

둘째, 지역성에 기반한 건축과 도시건축을 실천
건축과 도시는 사람들의 삶이 녹아 있는 공간으로 사람들의 가치관과 철학, 시대적 의의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발전한다. 지역이 갖는 고유한 특징을 찾고 일상의 보편성과의 관계를 해석하고, 오늘의 시선으로 구체화하며 연구하고 디자인한다.

셋째, 강원도 18개 시·군지역의 도시건축 차원의 특성과 차별화 모색
지역은 각각의 환경적 영향에 따라 발전하고 변화한다. 강원지역의 특성에 부합하는 공간을 이해하고 이를 고려하는 건축도시적 접근이 필요하다. 지역의 근·현대 발전사를 조사하여 분석하고, 지역별 고유한 특성을 밝힌다. 이를 통해 각 지역의 차별화되는 발전방안을 제안한다.

넷째, 지역공동체 기반의 도시재생
급격한 도시의 발전은 우리사회의 많은 것들이 소실되는 원인이 되었다. 건축도시의 발전과정에서 사람들의 일상과 스토리를 발굴하고 소실된 지역공동체성을 회복하여 커뮤니티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사람간의 관계 증진을 통해 일상생활 단위의 공동체가 회복되고 지역재생이 시작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지역활성화를 도모하며, 궁극적으로 지역발전을 모색하는 연구와 디자인을 지향한다.



Our lab practices urban architecture that focuses on people based on socially healthy and ecologically sustainable environments of space and its detailed goals are as follows.

First, an orientation towards urban architecture based on emotional healing environments
People develop various relationship networks in cities and live while sharing experiences. This often leads to social fatigue and exposes people to risk. Approaches should be made to realize and seek spaces that can provide healing and reduce stress within the spaces we live in. For this, attempts are made to plan and practice healing environments. Also, attempts are made for the realization of healthy urban architecture.

Second, the fulfillment of architecture and urban architecture grounded upon regionality
The lives of people are melted into architecture and cities and thus they are affected by and a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values and philosophies of people and the significance of the times. This lab searches for unique regional characteristics, interprets relationships through the universality of everyday life, materializes them through the perspectives of today, and researches and designs them.

Third, a search for differentiation from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architecture dimensions of the 18 cities · counties of Gangwondo
Regions develop and change according to the influences of their respective environments. Architectural and urban approaches that understand and take account of spaces that correspond to characteristics of the Gangwon area are needed. This lab researches and analyzes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regional development and reveal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Through this, it presents development plans that are different for each region.

Fourth, urban regeneration based on local communities
Rapid urban development has become the cause of much loss in our society. This lab discovers the everyday lives and stories of people within the development processes of constructed cities and searches for plans to vitalize communities by restoring lost local communality. Communities of everyday units are restored through the enhancement of relationships among people and thus regional regeneration begins. Also, regional vitalization is promoted through this and ultimately, research and designs that seek regional development are pursued.